-
인구
인구개괄- 인구개괄
- 인구밀도
-
주택
주택- 주택 수
- 주택보급률
-
도시계획
도시계획- 토지이용 현황
- 도시계획
- 행정구역 변천
- 행정구역
-
상하수도
상하수도- 상수도
- 하수도
-
도시환경
도시환경- 생활폐기물
- 대기질
- 공원
-
도시교통
도시교통- 도로시설
- 통행속도 및 교통량
- 교통수단
인구개괄
서울시 통계연보에 인구가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은 1915년으로 이때 서울의 인구는 약 24만 명으로 기록되었다. 1936년에는 인구가 전년 대비 79.9% 증가하여 약 73만 명으로 늘어났는데 이것은 행정구역 확장 때문이었다. 서울의 인구는 1942년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하였고, 1980년대에도 강남지역의 개발과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인구증가 추이는 1990년대에 와서 둔화하였다, 서울시 인구는 1992년 1,097만 명으로 최고치에 도달한 이후 교외화 현상과 출산율 저하로 인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2010년 말 현재 서울인구는 1,058만 명(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집계되었으며, 지난 20세기에 급속하게 증가했던 서울인구는 거의 100년 만에 안정단계에 들어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인구밀도
주택 수
주택보급률
토지이용 현황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표 9-1. 토지이용별 면적비율 2010
토지이용유형 | 면적 [㎡] | 비율 [%] |
---|---|---|
주택지 | 118,853,767 | 19.5 |
상업 및 업무시설지 | 35,928,608 | 5.9 |
혼합지 | 77,752,590 | 12.8 |
공업지 | 6,074,006 | 1.0 |
공공용도지 | 32,786,912 | 5.4 |
교통시설지 | 66,056,422 | 10.9 |
도시부양시설지 | 6,739,591 | 1.1 |
나지 | 12,240,195 | 2.0 |
특수지역 | 14,490,734 | 2.4 |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 188,179,176 | 30.9 |
하천 및 호소 | 49,216,759 | 8.1 |
총합계 | 608,318,759 | 100 |
출처 : 환경부, 도시생태현황도, 2010년
도시계획
표 9-2. 용도지역 2012
용도지역 | 면적 [㎡] | 비율 [%] |
---|---|---|
제1종전용주거지역 | 5,445,969 | 0.9 |
제2종전용주거지역 | 844,368 | 0.1 |
제1종일반주거지역 | 64,594,960 | 10.7 |
제2종일반주거지역 | 132,938,478 | 21.9 |
제3종일반주거지역 | 94,174,496 | 15.5 |
준주거지역 | 11,619,587 | 1.9 |
중심상업지역 | 360,078 | 0.1 |
일반상업지역 | 23,246,007 | 3.8 |
근린상업지역 | 807,068 | 0.1 |
유통상업지역 | 1,557,824 | 0.3 |
준공업지역 | 27,645,005 | 4.6 |
녹지지역 | 242,724,160 | 40.1 |
합계 | 605,958,000 | 100 |
출처 :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정보관리시스템(UPIS), 2012년
출처 :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정보관리시스템(UPIS), 2012년
표 9-3. 용도지구 2012
용도지구 | 면적 [㎡] | 비율 [%] |
---|---|---|
경관지구 | 13,110,938 | 6.6 |
미관지구 | 22,396,297 | 11.3 |
고도지구 | 89,634,269 | 45.3 |
방화지구 | 3,466,330 | 1.8 |
보존지구 | 630,462 | 0.3 |
시설보호지구 | 65,201,700 | 33 |
취락지구 | 379,065 | 0.2 |
개발진흥지구 | 2,155,877 | 1.1 |
문화지구 | 622,312 | 0.3 |
기타 | 203,670 | 0.1 |
합계 | 197,800,920 | 100 |
출처 :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정보관리시스템(UPIS), 2012년
행정구역 변천
조선시대에 성저십리(城底十里)라고 불리던 도성 밖 약 10리에 이르는 서울의 행정구역은 일제 강점기 후반인 1939년에 일제의 군수산업 기지로 개발된 영등포 지역이 서울에 편입되면서 134㎢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해방 후인 1949년에 서울은 서울특별시로 승격·개칭되었고, 이후 행정구역을 확장하면서 면적이 268.35㎢로 증가하였다.
1963년 서울의 행정구역은 인근의 경기도 지역까지 대폭 확장되어 전체 면적이 613.04㎢로 2.3배 증가하였다. 1973년에도 경기도의 일부가 서울에 편입되면서 서울의 면적은 627.06㎢로 증가하였다. 그 이후 서울은 자치구를 새로이 신설, 조정하면서 행정구역 면적이 소폭 조정되었고, 실측으로 인해 면적이 재조정되었다. 2010년 말 현재 서울의 면적은 605.25㎢에 이르고 있으며, 동일시점의 국토면적(100,033㎢)에서 약 0.6%를 차지하고 있다.
행정구역
서울은 1949년 서울특별시로 개칭된 이래 행정구역에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1943년에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용산구, 성동구, 영등포구, 서대문구의 7개 구가 설치된 이후에 18개의 구가 더 추가되어 1995년에 25개 구, 522개의 행정동을 갖는 행정구역이 형성되었다. 그 이후에도 행정동의 설치, 폐지로 인해 2010년 기준 서울시의 행정구역은 25개 자치구와 424개의 행정동이 되었다. 행정동은 행정의 편의를 위해 설정한 행정구역으로서 주민 수의 증감에 따라 수시로 설치 또는 폐지되어 왔다. 2012년에는 종로구 명륜3가동이 혜화동에 편입되어 행정동의 수는 423개가 되었다.
법정동은 법률로 정해진 행정구역으로 주로 예로부터 전해온 고유 지명을 명칭으로 하고 있으며 행정동에 비해 거의 변동이 없다. 2010년 서울시의 법정동은 467개가 있다.
상수도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표 10-1 정수장 현황 2012
정수장 | 시설용량 | 생산량 | 평균가동률 |
---|---|---|---|
[1000㎥/일] | [1000㎥/일] | [%] | |
광암 | 400 | 221 | 55.2 |
구의 | 250 | 192 | 76.9 |
뚝도 | 500 | 405 | 80.9 |
영등포 | 600 | 444 | 74.0 |
암사 | 1600 | 1,152 | 72.0 |
강북 | 1000 | 811 | 81.0 |
계 | 4350 | 3,225 | 74.1 |
하수도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표 10-2 물재생센터 현황 2012
물재생센터 | 시설용량 | 처리량 | 연계처리량 |
---|---|---|---|
[1000㎥/일] | [1000㎥/일] | [1000㎥/일] | |
중랑물재생센터 | 1,710 | 1,344 | 3,643 |
탄천물재생센터 | 1,100 | 794 | 68 |
서남물재생센터 | 2,000 | 1,662 | 2,863 |
난지물재생센터 | 1,000 | 620 | 6,350 |
합계 | 5,810 | 4,420 | 12,924 |
생활폐기물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대기질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공원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도로시설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통행속도 및 교통량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교통수단
연구 자료 출처: 서울연구데이타서비스 지도로 본 서울 http://data.si.re.kr/map-seoul-2013
![]() |
본 내용은 서울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를 재구성하여 제공합니다.- 보고서명 : 지도로 본 서울 2013 (발행년도 : 2013)- 출처(URL) :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데이터로 본 서울>지도로 본 서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