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열기/닫기

서울 정책아카이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새소식

  • 『글로벌 약자와의 동행』을 위한 해외 도시철도관계자 초청연수, 민간기업 추천 대상국가(도..
    등록일 2025-07-02 글쓴이 seoulsolution
    서울시 민선 8기 핵심시정인 ‘약자와의 동행’을 전 세계로 확대한 ‘글로벌 약자와의 동행’의 일환으로 도시 개발·운영 정책경험을 기반으로 개발도상국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연계하여 서울도시철도 건설·운영 노하우를 개발도상국에 전수함으로써 교통문제 해결, 교통취약계층 삶 개선 등을 글로벌 약자 동행 도시로서 입지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해외 도시철도관계자 초청연수』계획과 관련하여 희망 개발도상국가(도시, 기관)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해외진출에 관심 있는 민간기업에서는 초청연수 참가를 희망하는 개발도상국가(도시, 기관)를 추천하여 주시면 심사 등을 거쳐 초청연수에 참석하도록 할 예정이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 초청연수 개요   ❍ 시행시기: 2025.10.26.~11.1.(6박 7일(예정))      ※ 서울시(본부) 사정에 따라 기간은 변경될 수 있음.   ❍ 초청연수: 민간기업 추천 개발도상국가 6개국 이내   ❍ 시행방법: 서울시(본부), 공사(서울교통공사), 민간기업과 협의체 구성·운영하여 세부 연수프로그램 등 마련하여 시행   ❍ 연수 프로그램(안)  일 정 구 분 프 로 그 램 비고 10.26(일) 입 국 o 입국(인천공항) o 숙소배정, 입교 안내   10.27(월) 정책소개 o 초청연수 환영식(참석자 소개, 연수일정 안내) o 서울시 정책 및 도시철도 현황 소개 o 서울교통정보센터(TOPIS) 견학 서울국제개발협력단 교통첨단교통과 10.28(화) 기관방문 현장견학 o 영동대로 건설사업 현장견학 o 9호선 관제실 및 역사 방문, 급완행 열차 시승 o 한강 주변 선유도공원, 반포한강공원 등 탐방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부공원여가센터 10.29(수) o 차량 제작공장 견학 차량제작업체 10.30(목) o 중전철 통합관제실 및 차량기지 견학 - 서울지하철 1~9호선 운영기관 서울교통공사 견학 o 진접선 차량기지 건설현장 방문 서울교통공사 10.31(금) 문화체험 o 서울 문화체험(서북촌, 창덕궁, 인사동 투어 등) o 초청연수자 발표(대표) 및 설문조사 o 수료식 및 환송식   11.1(토) 출 국 o 출국(인천공항)   ※상기 일정은 초청연수생의 요청사항과 실무회의 결과, 방문기관 협의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민간기업의 추천 개발도상국가(도시) 선정 방법   ❍ 모집규모: 6개국 14명 이내(연수생은 국가별 2명 이내)      ※ 사정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추천 국가(도시) 선정기준 ① 서울교통공사(컨소시엄 포함)에서 추진 중인 사업 예정 개발도상국가(도시) ② 민간기업에서 추진 중인 해외진출 사업으로 확정 또는 확정단계인 개발도상국가(도시) ③ 해외국가(도시)에서 초청연수를 직접 신청한 개발도상국가(도시) ④ 진행과정 중 초청연수 실무회의 등에서 정하는 개발도상국가(도시)   ❍ 참가 연수생 선정기준 ① 선정된 개발도상국가(도시)의 도시철도 정책관리자 최우선 선정 ② 선정된 개발도상국가(도시)의 철도관련 간부 또는 업무담당  ③ 시의원, 정치인 등 철도업무 관계자 ④ 상기 기준에 적합한 자 중 영어로 의사소통 가능한 자를 우선 선정     ❍ 예산지원: 연수 및 체재비 지원     ※ 민간기업에서 추천된 연수생의 항공료는 민간기업에서 부담 󰏅 추천방법   ❍ 서울정책아카이브(https://seoulsolution.kr) 접속하여  정책공유사업 → 초청연수 사업 → 초청연수 신청 → 연수신청하기 에서 신청   ❍ 등록내용     - 작 성 자: 성명, 이메일, 연락처     - 추천국가: 국가(도시), 기관, 도시현황, 철도건설계획 및 추천하는 민간기업의 진행상황(주요 추진 일자별로 자세히 작성)     - 추천연수생: 성명, 직책, 담당업무, 추천사유 등   󰏅 접수기한     2025.7.25.(금) 서울정책아카이브 접수분까지 󰏅 문 의   ❍ 담당자: 오재련(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도시철도설계부 설계총괄과)   ❍ 연락처: ☏ 02-6438-2522,  FAX 02-6438-2550   ❍ e-메일: jaeryen@seoul.go.kr   󰏅 참고사항   ❍ 초청연수대상 국가(도시, 기관)에 선정된 민간기업에 한해 공문 통보   ❍ 연수생의 입국 준비 및 연수 중 개별 안내는 추천 민간기업의 책임하에 이행  
  • 서울 전역 공영주차장 실시간 정보 제공…7월부터 본격 시행
    등록일 2025-06-30 글쓴이 seoulsolution
    - 서울시, ‘서울주차정보’ 실시간 정보 기능 대폭 강화…위치부터 요금까지 한눈에 - 자치구 연계 210→386개소로 대폭 확대, ‘실시간’ 주차 가능 면수 편리하게 확인 - 시간당 이용 요금도 함께 표기, 혼잡은 피하고 경제적·효율적 선택 가능 - 향후 대형 민간시설 주차정보 연계 노력…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적극 유도 추진 □ 앞으로는 비어있는 주차면, 요금 등 서울 전역 공영주차장의 실시간 정보를 더욱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서울주차정보’ 시스템이 개편되면서 지도 위에서 모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되고, 주차장을 찾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서울시는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주차장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14.2월부터 운영 중인 주차정보안내 서비스를 ’25.7.1부터 모든 공영(노외)주차장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 서울시 직영 공영주차장은 ’22년부터 주차통합플랫폼을 구축하여 대부분 주차장에 대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해 왔으나,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공영주차장(이하 구영주차장)은 자치구별로 주차관제시스템이 제각각으로 ’24.12월 기준 서울주차정보시스템과 자치구 공영주차장간 실시간 연계율이 연계 가능 주차장(386개소) 중 54%(210개소)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 이에 서울시는 전액 시비를 투입해 사업을 직접 추진, 2025년 2월부터 6월까지 시스템 미연계 구영주차장에 대해 실시간 주차정보 전송을 위한 시스템 설치를 완료하였다.    ○ 단, 월정기권 주차장(거주자우선주차장 포함)처럼 일반 시민 이용이 불가하거나, 현장 여건상 실시간 연계가 불가한 주차장은 ‘실시간 주차가능면수’ 정보를 제외한 위치, 요금, 운영시간 등 기본정보만 제공된다. □ 아울러 서울주차정보시스템의 지도화면도 기존의 ‘위치’ 중심의 정보에서 한단계 업그레이드하여 주차장 선택 시 핵심 요소인 ‘요금’ 정보를 지도화면에 함께 표기하는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    ○ 기존에는 지도상 주차장 ‘위치’만 제공되어 요금비교를 위해서는 주차장마다 개별 상세정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지만, 개선된 지도화면에서는 주차장의 ‘요금’ 정보도 지도 위에 함께 표기되어 시민들이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비교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지도화면에 표출되는 주차요금은 주차장별로 서로 비교가 용이하도록 각 주차장 요금을 기본 1시간 요금으로 환산하여 제공된다.    ○ 이는 시민들의 주차비 부담 완화는 물론, 주차장 간 수요 분산과 이용율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mage0001.png ⇨ image0002.png <서울주차정보 앱 지도화면 개선 전·후 비교(예시)> □ 서울시는 더 나아가, 현재 진행 중인 『’25년 자치구 주차장 수급 및 안전관리 실태조사(법정 전수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시스템에 등록된 주차장 위치, 요금, 운영시간 등 정보를 전면 정비할 계획이다. <’25년 자치구 주차장 수급 및 안전관리실태조사 개요> ‣ 관련규정 :「주차장법」제3조, 같은 법「시행규칙」제1조의2, 「서울시 주차장 조례」제3조 ‣ 조사기간 : ’25.3~11월 ※ 매 3년마다 실시 ‣ 조사주체 : 자치구청장 ‣ 조사대상 : 주차시설현황 전수조사 - 주차장 소재지, 주차장 규모, 주차요금, 주차대수, 운영 및 관리실태 등    ○ 조사 과정에서 그동안 정보 제공 대상에서 누락됐던 신규 개방형 주차장(공공기관 부설, 민간주차장 등)을 추가 발굴해 정보 제공 대상 범위 또한 확대할 계획이다. □ 또한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대상시설(연면적 1,000㎡ 이상 대형시설)을 대상으로 주차정보안내시스템 연계 참여를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대상 시설이 시스템과 연계하여 서울주차정보안내시스템을 통해 시민들에게 실시간 주차정보를 제공할 경우, 교통유발부담금의 최대 10%를 감면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가 제공된다.(「서울특별시 교통유발부담금 경감 등에 관한 조례」 제6조 제1항) * 교통유발부담금 정의(「도시교통정비 촉진법」제2조) :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하여 원인자 부담의 원칙에 따라 혼잡을 유발하는 시설물에 부과하는 경제적 부담
  • 서울시,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세계 8위 달성…역대 최고・2년 연속 톱10
    등록일 2025-06-13 글쓴이 seoulsolution
    - 글로벌 창업생태계 평가기관 ‘스타트업 지놈’ 발표(6.12) 300개 도시 중 ‘서울’ 8위 평가 - 5천만$ 이상 대규모 Exit 증가가 서울 창업생태계 순위 견인…싱가포르, 도쿄보다 높아 - 지식축적 분야(세계 1위), 자금조달 분야(세계 5위·아시아 1위) ‘매우 우수’ 평가 - 서울의 강점 산업으로 ‘AI·빅데이터 분석, 생명과학, 첨단제조·로봇산업’ 선정 - 시, “2030년까지 글로벌 톱5 창업 도시로 도약…유니콘 기업 50개 육성 위해 달릴 것”   □ 서울시가 전 세계에서 ‘창업하기 좋은 도시’ 8위에 올랐다. 2024년 조사(9위)에 비해 한 계단 상승한 역대 최고 성적으로 서울의 창업생태계 가치는 2년 연속 톱(TOP)10으로 평가받으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 서울시는 미국의 글로벌 창업생태계 평가기관인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이 전 세계 300개 도시를 대상으로 6월 12일(파리 현지시간) 발표한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 2025’(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 2025)에서 이와 같은 내용이 담겼다고 밝혔다. ○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 2025>는 세계 100개국 300개 도시의 2022년 7월부터 2024년 12월까지의 2년 6개월간의 실적을 바탕으로 ▴지식축적 ▴자금조달 ▴생태계활동성 ▴시장진출 ▴창의경험 및 인재양성 ▴AI중심전환 등 6개 항목을 평가해 창업생태계 가치 순위를 매긴다.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 기관 및 생태계 조사개요> ■ 기관성격 : 美 민간 싱크탱크로 글로벌 창업생태계 조사·평가기관(대표 : JF 고디어) ■ 설립연도 : '12년부터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 발간 ■ 조사대상 : 전 세계 100개국·300개 도시(생태계) ■ 조사기간 : 2022년 7월 ~ 2024년 12월(2년 6개월) □ 지난 ’22년 글로벌 창업도시 톱10에 처음으로 진입한 서울은 전 세계적인 3고(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현상으로 국내 투자시장이 위축된 2023년에는 12위까지 순위가 밀렸으나 2024년 9위로 반등에 성공한 데 이어 2025년 다시 역대 최고 순위를 갱신해 창업생태계의 경쟁력 강화를 입증했다. 특히, 아시아 대표 창업 도시로 손꼽히는 싱가포르(9위)와 도쿄(11위)를 제치고 선순위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더욱 크다. ○ 글로벌 톱10 창업생태계 순위는 1위 실리콘밸리(美), 2위 뉴욕(美), 3위 런던(英), 4위 텔아비브(이스라엘), 공동 5위 보스턴(美)·베이징(中), 7위 LA(美) 순이다. ◆ 대륙별 생태계 순위(2025) - 북미 : 실리콘밸리(1위), 뉴욕(2위), 보스턴(5위), LA(7위) - 유럽 / 중동 : 런던(3위), 파리(12위) / 텔아비브(4위) - 아시아 : 베이징(5위), 서울(8위), 싱가폴(9위), 상하이(10위), 도쿄(11위) □ 이번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서울은 ①지식축적(10점), ②자금조달(10점), ③생태계활동성(9점), ④시장진출(9점) ⑤창의경험 및 인재양성(9점) 등 총 6개 평가항목 중 5개 항목에서 10점 만점 중 9점 이상의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2025년 새롭게 신설된 ⑥AI중심전환 항목의 경우에는 서울이 AI 응용 분야에서는 강점을 보였으나 오픈 AI와 같은 AI 기술 자체를 핵심 사업모델로 삼는 스타트업 수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아 3점을 기록했다. □ 특히, 10점 만점을 받은 지식축적 항목(세계 1위)과 자금조달 항목(세계 5위, 아시아 1위)은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으로 인정받았다. 이에 대해 시는 서울형 R&D 사업 및 자체 펀드 조성을 통해 바이오·인공지능·창조산업 등에 공격적으로 투자를 진행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 이제 정책도 내 스타일에 맞게 즐긴다-! 서울시 최초의 ‘정책 커스텀북’ 〈서울 플레이북 ..
    등록일 2025-06-05 글쓴이 seoulsolution
    - 서울시, 나만의 라이프스타일로 조립해 즐기는 ‘정책 커스텀북’ 출간 - 플레이 스타일 테스트, 계절별 가이드로 시민이 정책을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구성 - 에너지-영감-재미-연결 등 4가지 유형별 맞춤 정책 추천과 QR코드 연동으로 즉시 활용가능 - 6/6~6/8 책읽는 서울광장에서 시민참여이벤트 개최, 나만의 서울플레이 스타일 찾아보기   □ 서울시가 정책 안내서를 완전히 새롭게 재해석한 ‘정책 커스텀북’ 『서울 플레이북 365』를 출간했다. 이 책은 시민들이 정책 정보를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경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제작된 맞춤형 정책 안내서다.    ○ 『서울 플레이북 365』는 기존처럼 순서대로 읽는 책이 아니라, 독자가 직접 탐색하고 선택해 자신만의 목차를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간단한 플레이어 유형 테스트를 통해 내 취향에 맞는 정책을 고르고, 월별 또는 테마별로 계획을 짤 수 있으며, 랜덤하게 펼쳐 읽는 등 게임하듯 목차를 설계하며 ‘플레이’하는 새로운 형식이다. □ 책의 첫 장에는 ‘플레이 스타일 테스트’가 수록되어 있다. 나에게 흥미로운 플레이 키워드들을 선택하고, 선택한 키워드에 부여된 에너지, 영감, 재미, 연결 네 가지의 단어의 개수를 세어 순위를 매기면 자신이 어떤 유형의 ‘서울 플레이어’인지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많이 나온 단어의 결과를 바탕으로 나만의 서울 플레이 리스트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 서울 플레이어 유형은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에너지를 채우는 플레이어: 진취적이고 활기찬 삶을 지원하는 정책 - 영감을 찾는 플레이어: 예술과 문화를 통한 자극과 성장을 돕는 정책 - 재미를 탐험하는 플레이어: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이벤트와 도시 매력을 담은 정책 - 연결을 만드는 플레이어: 공동체와 균형 잡힌 삶을 위한 정책 □ 그 외에도 누구나 원하는 순서와 테마를 골라 비선형적으로 정책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서울 플레이북 365』는 서울의 정책을 계절별, 테마별로 정리한 라이프스타일형 가이드북의 역할도 한다.    ○ 봄에는 야외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여름에는 한강 수영장에서 시티 바캉스를 즐기며, 가을에는 라이트아트를 체험하고, 겨울에는 서울광장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등 서울의 사계절을 따라 정책을 경험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한다. □ 각 정책에는 실제 적용 공간, 활용법과 신청 방법, 관련 누리집 QR코드가 수록되어 있어 즉시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실용성도 뛰어나다. 무엇보다 이 책은 기존 정책 안내서와 달리 사용자 관점에서 정책을 재미있고 흥미롭게 풀어냈다. 십자말 퍼즐, 숨은그림찾기 일러스트 포스터, 체크리스트형 플레이리스트 등 놀이 요소를 더해 정책을 학습이 아니라 ‘탐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 『서울 플레이북 365』는 감각적인 일러스트와 독특한 디자인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표지에는 서울시 정책 72가지를 담은 메아리 작가의 일러스트 작품 ‘특별함이 일상이 되는 서울’을 게임 조이스틱 형태로 표현해, 정책과 재미, 심미적 아름다움을 결합했다. 책등과 배 부분을 모두 덮는 독특한 디자인은 1980년대 고전 게임팩과 비디오 테이프를 연상시키며, ‘서울을 플레이하라’는 부제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 『서울 플레이북 365』발간을 기념하여 6월 한 달간 서울 곳곳에서 시민참여 이벤트가 진행된다.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는 곳은 책읽는 서울광장이다. 2025년 6월 6일(금)~8일(일), 오후 4시부터 10시까지 서울도서관 앞 서울광장 내 부스에서 ‘나의 서울 플레이스타일’을 테스트하고 이벤트에 참여하면 게임참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선물을 받아볼 수 있다. 추후 이벤트는 인스타그램 @play_yourseoul에서 확인해보자. □ 민수홍 서울시 홍보기획관은 “서울의 다양한 생활 정책을 한 권에 담아 손에 잡히는 정보로 정리한 만큼, 소장 가치가 높다”며, “정보를 넘어 ‘경험’이 되는 정책 커스텀북으로 시민들이 나만의 서울을 플레이할 수 있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서울 플레이북 365』는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등 전국 주요 서점과 독립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  

발간물 & 연구보고서

  • 서울시 민관협력 우수사례집 '동행의 힘, 서울에 매력을 더하다'
    등록일 2025-07-10 글쓴이 seoulsolution
    서울시, 시 산하기관, 민간기업 및 단체 간 협력을 통해 서울시의 다양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들에게 보다 질높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한 민관협력 우수사례를 소개하는 책자입니다.   2024 서울시 민관협력 우수사례집 (동행의 힘, 서울에 매력을 더하다) ebook 바로보기
  • 2025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생활
    등록일 2025-07-01 글쓴이 seoulsolution
    □ 서울시는 2025년 하반기에 새롭게 시행되거나 확대되는 사업, 개관을 앞둔 공공시설 등 시민 생활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한데 모은 「2025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 생활」을 7월 1일(화) 전자책(eBook)으로 발간했습니다.     ○ 전자책(eBook)은 서울시 누리집(seoul.go.kr)과 ‘정보소통광장(opengov.seoul.go.kr)’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서울시 대표 소통포털 ‘내 손안에 서울(mediahub.seoul.go.kr)’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전자책(eBook) https://ebook.seoul.go.kr/Viewer/2E08LF73HJBR       - 자료(pdf) ★ 2025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생활    □ 「2025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생활」은 서울시의 핵심과제인 규제개선 외에도 시민에게 힘이 되는 지원 사업 및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의 변화, 시설 개관 등 5개 분야 총 39개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규제철폐 ② 시민 지원 12건(기후동행카드 서비스 확대, 중소기업 지원 확대 등)     ③ 시민 생활 9건(한강버스 정식 운항, 터널 ‘표준형 안전디자인’ 개발·확산 등)     ④ 시설 개관 13건(여의도 유람선터미널 개관, 수변활력거점 개소 등) ⑤ 행사·축제 4건
  •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
    등록일 2025-01-01 글쓴이 seoulsolution
    □ 외로움·고립은둔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전화 한 통만 하면 상담부터 서비스까지 연계해주는 24시간 상담콜센터 ‘외로움 안녕120’이 내년부터 정식 운영을 시작한다. 사회기여활동을 하는 대학생 동아리 200개를 선정해 활동비를 지급, 팬데믹 이후 단절된 사회관계 회복기회도 제공한다. 또 국방의 의무를 다한 청년들의 정책 수혜 기간을 군 의무복무 기간(최대 3년)만큼 연장해 지원의 폭도 넓힌다. 기후동행카드부터 서울청년예비인턴, 미래청년일자리 등 다양한 청년정책에 적용될 예정이다. <서울시,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발간, 1월 3일부터 책자와 전자책(eBook) 제공> □ 서울시는 2025년 새롭게 시행·확대되는 사업·제도와 개관을 앞둔 공공시설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정보를 한데 모은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을 3일(금) 책자와 전자책(eBook)으로 발간한다고 밝혔다.    ○ 전자책은 서울시 누리집(seoul.go.kr)과 ‘정보소통광장(opengov.seoul.go.kr)’에서 열람할 수 있고 서울시 소통포털 ‘내 손안에 서울(mediahub.seoul.go.kr)’에서도 만날 수 있다. 해치&소울 프렌즈가 소개하는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 전자책(eBook) 보러가기
  • 서울연구원 영문 홍보브로슈어(SI Brochure - English)
    등록일 2024-12-17 글쓴이 seoulsolution
    Founded in 1992, with funds provid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as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and renamed the Seoul Institute (SI) in 2012, the institute is a research organization based in Seoul and focuses on comprehensive urban policy. The SI’s research spans a wide array of areas, including urban planning & design, transportation, the environment, energy, administration & local f inance, economic & industrial development, welfare, culture, urban information, and safety·disaster preparedness. We have produced high-quality, evidence-based public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municipality of Seoul. With a vast pool of research talent, we are committed to carrying out ground-breaking research in myriad fields and identify a future vision and policy agenda for the city. Moreover, we will continue to improve the SMG’s ability to proactively navigate risks and opportunities by influencing its policy and decision-making through pioneering, fact based research and analysis.
  • CITYNET 로고이미지
  • ICLEI 로고이미지
  • UNHABITAT 로고이미지
  • WEGOV 로고이미지
  • WORLDBANK 로고이미지
  • KOICA 로고이미지
  • KOTRA 로고이미지
  • 서울시청의 로고
  • K-Developedia 로고 이미지
  • MITI – Metropolis International Training Institute

The main mission of the Metropolis International Training Institute (MITI) is to strengthen the institutional and professional capacities of local and metropolitan authorities and their leaders for better public governance.

The Metropolis International Training Institute (MITI) is the training and learning center of Metropolis, established in 1996.Today, MITI counts on headquarters located in Seoul, and four regional centers: Cairo, Mashhad, Mexico City and Paris (Île-de-France). Formerly located in Montreal, the headquarters have been transferred to Seoul after a decision taken at the Metropolis Board of Directors’ meeting in Guangzhou, in 2012.

With its relaunch in Seoul, MITI enters a new era of knowledge dissemination, with the boosted activation of its regional centers. MITI will spare no efforts to operate training programs in line with other Metropolis activities, for all members of the Association, and also for its institutional partners and affiliated cities.
  • Metropolis 로고이미지
  • World Cities Summit 로고이미지
  • CLC 로고이미지
  • 해외건설협회 로고이미지
  • ADB 로고이미지
  • 기재부 로고이미지
  • 외교부 로고이미지
  • 수출입은행 로고이미지
  • 금융투자협회 로고이미지
  • KDI 로고이미지
  • 대한상공회의소 로고이미지
  • 중소기업중앙회 로고이미지
  • 대한국토 로고이미지
  • KOSMIC 로고이미지
  • 서울시립대
  • metta
  • 국토연구원
  • UN SDG 온라인플랫폼
  • 공유도시(Sharing City) 서울은?

시간, 공간, 재능, 물건, 정보 등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것을 함께 나누어 활용함으로써 쓰지 않고 놀리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며, 이웃과 공동체 의식도 형성하고, 환경에도 이로운 활동인 '공유'가 활성화된 도시입니다.

'공유도시 서울' 정책을 추진하게 된 이유는?

복지, 환경, 일자리 등에서 사회적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한정된 예산과 자원으로 이를 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급격한 도시화로 공동체 의식이 실종되었고, 과잉소비에 따른 자원고갈과 환경오염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결이 어려운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들을 '공유'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완화시켜 나가고자 합니다.